java/spring, springBoot

스프링(Spring) - 시작해보기(java->spring변환)

정데브 2021. 8. 31. 18:37

지난 시간에는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까지 해봤는데요! 이번 시간에는 간단하게 java클래스 파일을 spring스타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드리기 위해서 포스팅을 쓰게됬습니다! 자 시작해볼까요? 👀

 

✅ java 프로젝트 만들어보기

- 같은 패키지에 서브 클래스와 메인 클래스를 생성하여 프로젝트를 실행해 보도록 하죠

- MainClass에서 서브 클래스인 TranspotationWalk라는 객체를 new를 통해 생성하여 생성된 새로운 transpotationWalk를 통해서 move()를 호출하게 되어 출력화면처럼 "도보로 이동합니다"라는 문구가 나오게되죠

 

 

✅ java를 스프링으로 변환해보기

- 우선 spring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xml파일을 따로 생성해주어야 합니다.

 

- src/main/resources 부분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- [New] - [Spring Bean Configuration File]을 생성해 주도록 하겠습니다!

 

별도 다른 이름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처음 만드는 xml파일 인 만큼 이름에 충실하게 applicationContext.xml 파일로 만들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자 여기는 applicationContext.xml에 화면입니다!

스프리 XML설정 파일이라고 보시면 되고 여기서 bean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!

 

아래와 같이 <bean> </bean> 태그로 감싸준 다음 그 안에 id,class에 각각 해당하는 데이터를 넣어주면 됩니다.

 

여기서 id는 임의로 "tWalk"라고 사용하였고 그다음 클래스지정으로는 "패키지명.클래스명"으로 진행되고 있답니다✨

여기서 만들어진 bean 부분은 앞서 java MainClass에서 진행되었던 new를 통한 객체 생성 기억나시져? 그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!

 

 

자 여기까지 완료했다면 다시 MainClass로 이동해서 만든 bean객체를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여기서 GenericXmlApplicationContextXML 파일로부터 정보를 읽어와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렇게 GenericXmlApplicationContext 타입의 객체 ctx에 이전에 만들어 둔 xml에 대한 정보를 읽어와서 객체에 저장하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.

 

액박이 뜰 경우 마우스 오른쪽을 통해서 import를 시켜주시면 됩니다!

 

그다음 ctx라는 컨테이너를 생성한 후 그 안에있는 bean객체를 꺼내와서 사용해야겠죠?

 

이때❗❗ getBean("빈 id",빈 타입)을 통해서 해당 bean에 대한 객체를 가져오고 가져온 bean을 담을 공간에 타입을 맞춰서 담아주어 사용하시면 됩니다!


마지막으로 transporationWalk객체에 이전에 작성한 서브클래스의 객체가 담긴것인데요! move()함수를 호출했을때

정상적으로 "도보로 이동합니다"라고 콘솔에 뜨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!

 

 

 

오늘은 java클래스 파일을 spring으로 변환하여 간단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! 앞으로 진행되는 포스팅의 대부분은 인프런강의에서 수강한 내용을 제가 이해한 선에서 설명드리는것임으로 혹시 이 강의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서 링크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! 감사합니다👏👏


 

참고: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C%8A%A4%ED%94%84%EB%A7%81-%ED%94%84%EB%A0%88%EC%9E%84%EC%9B%8C%ED%81%AC_renew

 

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(renew ver.) -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- 인프런 | 강의

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본부터 실전 사용법까지! 충실하고 폭넓은 설명과 예제를 통해 현장에 바로 투입되어 활약하는 개발자로 거듭나세요., 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내 개발자 커리어에 봄이

www.inflearn.com